본문 바로가기
약물관련

고농도 전해질(KCL , 3%NacL 등등 , 종류와 보관방법, 주의사항 )

by 팝콘낭군 2022. 5. 24.
반응형

1. 안전하게 보관해야하는 이유 :

고농도 전해질은 직접 정맥 투여 하거나 급속 투여 시 새명의 위협을 유발할 수 있는 약품이다. 따라서 고농도 전해질을 안전하게 관리하여, 투약 오류오 인한 치명적인 결과를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증진해야 한다.

2. 고농도 전해질의 종류

3. 고농동 전해질의 보관 방법
- 고농도 전해질은 ' 고위험 약품' 으로 표시한 장소에 분리하여 실온보관 한다.
- 고농도 전해질 보관 장소에는 " 반드시 희석 후 사용 " 주의 문구를 부착한다.

4. 고농도 전해질의 사용 및 희석
- 희석에 대한 오류 발생을 예방하기 의해, 미리 혼합된 의약품 ( Pre-mix) 사용을 권고 한다.


- 고농도 전해질 앰플 약품은 반드시 희석을 해서 사용해야 한다.
- Magnesuim sulfate 를 정맥주사 하는 경우는 20 % 이하로 희석한다.
- 사용 후 남은 약은 즉시 폐기 한다.

5. 고농도 전해질 주의사항 !!
1) KCL 희석액은 투여경로에 따라 최대 투여속도 이하로 주입한다.

2) 3% NaCL 및 고장성 saline 을 투여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혈중 Na 수치를 측적하고, 신경학적 증상을 관찰필요.
3) 발생 할 수 있는 ( 고농도 전해질 투여 시 ) 증상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 KCL ( Potassium chlodride) : 사지 감감이상, 이완마비, 정신혼미 , 무기력, 혈압 저하, 심부정맥, 심장차단
- NacL ( Sodium chloride ) : Na 과다증상 ,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 Magnesium sulfate 열감, 갈증, 혈압저하, 중추 신경억제, 심박동수 억제, 호흡마비

입원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고농도 전해질은 ,반드시 주의가 필요한 약품입니다. !!
환자의 안전을 위해
의사의 처방과 간호사의 수행이 매우 중요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좀 더 자세한 내요은 아래링크 참조
https://blog.naver.com/butter811/222307132302

반응형